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98)
2021.02.22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라우터와 L3 스위치 라우터(Router) : 네트워크의 연결을 수행하는 장비 L3 스위치(Switch) : 라우터를 스위치내에 수용시켜 네트워크 계층에 동작시킨 장비 - 서로 다른 네트워크끼리 통신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VLAN끼리 통신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단, 라우터와 L3 스위치가 동일한 가격대라고 가정하고 비교한다. 항목 라우터 L3 스위치 아키텍쳐 소프트웨어 처리가 메인 하드웨어 처리가 메인 포트 수 적다 많다 처리 속도 낮다 높다 지원 기능 수 많다 적다 지원 인터페이스 종류 많다 적다 확장성 많다 적다 - 라우터는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다양한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확장성을 가짐 - L3 스위치는 특정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기반으로 빠른 패킷 처리를 하지만, 지원 기능 수나 확장성은 제한됨
2021.02.21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메인프레임, 유닉스, x86 1) 메인프레임-터미널 : 단순하고 효율적이지만 컴퓨터 처리 비용이 높다 2) 서버-클라이언트 : 데이터만 서버에서 가져오고 클라이언트가 처리한다 3) 데이터베이스-웹 서버-클라이언트 : 웹 서버를 사용해 2번째에 비해 확장성과 관리 및 재사용이 용이하다. 메인프레임(Mainframe) 서버 = 수많은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 장치를 다수의 사람에게 지원할 수 있는 컴퓨터 - 메인프레임의 핵심은 동시성 제어 메인프레임의 규모가 커질 수록 동시적으로 제어하기가 많이 힘들어 질 것이므로 핵심적인 기술이다. *트랜잭션 :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1) 원자성 ; 트랜잭션은 완결된 처리 2) 일관성 : 트랜잭션은 데이터를 일괄된 상태로 유지 3) 고립성 : 트랜잭션은..
2021.02.20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멀티 페르소나의 변화로 생겨난 카카오톡 멀티 프로필 * 페르소나 : 겉으로 들어내는 자신의 본성과 다른 모습 멀티 페르소나란 나라는 인격체가 한 가지 만의 이미지가 아니라 각 상황별 또는 각 사람별로 다양하게 변화되어 이미지가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학교에 있을 때는 공부를 열심히하는 모범생의 이미지로 친구들이 알고 있다면, 학교 밖에서는 맨날 놀러 다니는 모습으로 다른 페르소나를 보여준다. 이렇게 생겨난 멀티 페르소나는 시장의 변화를 요구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렇기에 나는 카카오톡에 새롭게 추가된 '카카오톡 멀티 프로필'은 시장의 수요를 잘 파악하고 만든 것같다. 어쩌면 SNS에서 앞으로 멀티 프로필은 필수 기능으로 자리 잡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시장 수요에 맞는 멀티 프로필을 페이스북같은 SNS도 도입해야할까? 또 이 부분에서는 무턱대..
[ 인상적인 부분 ] 느낌-삶의 토대 요즘은 공부를 많이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라서 다른 취미생활을 할 때 부담감을 많이 느낀다. 그러던 중 나는 이 책에서 "삶의 토대"라는 한 파트를 읽게 되었다. 여기서는 사소한 것들도 모두 소중하고 열심히 해야 한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 부분이 나에게 승화돼서 공부 이외의 활동도 가치 있고 열심히 해야 하는 것이라고 들려졌다. 이렇게 생각하니 마음속에서 생겨나던 부담감이 해소되는 되는 느낌이다. 분명히 중요한 시기라면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하지만 다른 행동들도 가치가 없다고 판단해서는 안될 것이다.
2021.02.19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