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98)
가상화 가상화 : 서버 한 대를 여러 대의 작은 서버로 나눠서 사용하는 것 [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게 된 이유 ] 1. 윈도우의 Single-user Interface 운영체제 때문에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한 서버에서 실행하면 나타나는 심각한 자원 경합 문제점과 1개의 프로그램을 돌리다 보니 남는 자원의 활용 필요성이 대두됨 2. 환경 변화를 민첩하게 해야하는 E-비즈니스 수요 증가와 경쟁, 보안 강화 [ 가상화 기술을 나누는 방식 ] 1. 공유(sharing) - 대표적인 방식으로 물리적 자원을 시간 분할 기법으로 물리적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하게 하는 방법 - CPU 가상화가 이런 방식을 사용함 2. 집합(aggregation) - 여러 자원을 하나로 묶어서 물리적인 용량과 성능을 향상하며, 하나의 논리 장..
2021.02.27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네트워크 네트워크 : 정보를 주고 받아야 하는 모든 IT 인프라 장비 간의 물리적, 논리적인 연결 1974년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 1981년 -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1982년 - TCP/IP 90년대 초중반쯤에 서계적으로 인터넷 붐이 일어났음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종합 정보 통신망) ->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로 넘어감 [ ADSL의 장점 ] 1) 기존의 전화선이나 전화기를 사용해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했음 2) 하나의 전화선으로 일반 전화와 데이터 통신을 모두 처리할 수 있음 ..
2021.02.25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21.02.24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백업, 데이터 보호 백업의 정의 = 사용자가 사용하는 정보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테이프나 디스크에 미리 저장했다가 유사시에, 즉 장애가 발생하거나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 원래의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사전에 방비하는 활동 데이터 소산 : 사전에 메인 센터에서 백업받은 테이프를 원격지, 즉 재해 복구 센터로 보내 놓는 것 [ 백업의 종류 ] - 시스템 백업 : 운영체제 백업 - 데이터 백업 : 데이터베이스 백업과 일반 파일 시스템 백업 [ 백업 구성 방식 ] - 직접 연결 백업 : 서버와 백업 장비를 직접 연결하여 백업 - 네트워크 백업 : LAN을 통해 백업 장비와 서버를 접속해서 백업 - SAN 백업 : 서버에 백업용 장치를 SAN을 통해 인식해서 백업 [ 미디어에 따른 백업 구분 ] * 미..
2021.02.23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서버의 스토리지 [ 스토리지의 개념적 구조 ] - 디스크 : 저장되는 부분 - 컨트롤러 :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 - 캐시 : 데이터의 값을 미리 복사해두는 임시의 장소 [ 스토리지 등급별 분류 ] 성능, 확장성, 가용성, 복제 기술 등으로 구분 아래로 내려갈 수록 성능이 더 좋음 - 엔트리급 - 미드레인지급 - 하이엔드급 [ 스토리지의 구성방식 ] - DAS(Direct Attached Storage) : 서버에 직접 연결되는 방식 - SAN(Storage Area Network) : SAN스위치를 통해 서버와 연결되는 방식 - NAS(Network Attached Storage) :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와 스토리지가 각각 연결되는 방식 [ 스토리지 도입 시 고려사항 ] 1) 예산 2) 성능 : IOPS, 스토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