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System

(53)
[ DNS ] Domain Name Service DNS(Domain Name Service) : 아아피 주소(IP Address)에 이름을 달아주는 데 이걸 도메인(Domain)이라고 하고 이런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포트번호 : 53번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에 존재함 [ DNS의 변화 ] - 과거 : 컴퓨터마다 hosts.txt파일을 가지고 있음, 여기서 hosts.txt파일은 아이피 주소에 도메인을 매핑시켜놓은 파일 - 현재 : 분산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고 있음, 각 조직들이 도메인 정보를 관리하는 DNS를 운영하고 이런 DNS서버들이 서로 상호연동되어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Domain Name Space)를 형성하게 됨 [ DNS의 구성요소 ] -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Domain Name Space)의 ..
[ Cisco Network ] Routing과 AS(Autonomous System) Routing(라우팅) = 라우터가 어떤 네트워크 안에서 통신 데이터를 보낼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 종류 ) - Static Routing(정적 라우팅) : 직접 경로들을 일일이 입력하는 것 > 라우터의 부담이 줄어듬 > 일일이 직접 사람이 입력해야해서 귀찮음 > 입력한대로 라우팅 되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일에 대응이 힘듦 - Dynamic Routing(동적 라우팅) : 자동으로 경로를 찾음 > 라우터가 직접 경로를 찾아야하기 때문에 부담이 생김 > 정적 라우팅에 비해 덜 귀찮음 > 예기치 못한일에 대응이 가능 AS(Autonomous System) :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서 관리되는 라우터의 집단 - 라우터를 집단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다수의 라우터 관리에 효율적 - 인터넷 서비스를 간편..
[ Cisco Network ] VTP VLAN(Virtual LAN) : 물리적 배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LAN을 나눌 수 있는 기술, VLAN을 이용하면 브로드캐스트 도매인을 나눠줌, VLAN 간의 통신은 오직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함, 스위치가 VLAN을 지원해야지 VLAN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VLAN 방식) - Dynamic VLAN : 다이내믹 VLAN은 VLAN을 동적으로 할당 - Static VLAN : 스태틱 VLAN은 VLAN을 정적으로 할당 Trunking(트렁킹) : 여러 채널 등을 함께 실어 나르는 것 VTP(VLAN Trunking Protocol) : 여러개의 VLAN을 함께 실어 나르는 프로토콜 (VTP 방식) - ISL : 시스코에서 만든 트링킹 프로토콜, 시스코 장비끼리만 사용하는 방식 - IEEE 802..
라즈비안 OMV 설치 후 apt-get update가 안될때 본 문제점은 라즈비안에 OMV를 설치후 apt-get update로 업데이트를 하거나 omv사이트에서 업데이트를 실행할 때 오류가 뜬다. (리스트 서버를 바꾸는 등 다양한 방법을 해봤지만 안됬다.) 하지만 DNS 네임서버를 추가하면 오류가 해결이 된다. (vim 편집기를 사용함 nano로 들어가도 상관없음) vim /etc/resolv.conf에 들어간 후 nameserver 8.8.8.8을 추가한다. (참고로 8.8.8.8은 구글 공용 DNS 서버임) (원하는 다른 DNS 서버 사용해도 상관없음)
데비안 리눅스 (하드링크와 소프트링크, 통합과 압축) # 내가 모르던 것들 ( 정리표 ) [ 하드링크와 소프트링크 ] 이름 명령어 특징 하드링크 (Hard Link) ln (원본파일) (링크 만들 파일) 링크를 만들었던 파일을 삭제해도 하드링크 파일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소프트 링크 (Soft Link) ln -s (원본파일) (링크 만들 파일) 링크를 만들었던 파일을 삭제하면 소프트 링크 파일에는 영향을 끼친다 [ 통합과 압축 ] 이름 명령어 통합 tar cvf (통합된 파일 이름) (통합할 파일1) (통합할 파일2) .. 압축 tar cvfz (압축된 파일 이름) (압축할 파일1) (압축할 파일2) .. 통합해제 tar xvf (통합된 파일 이름) 압축해제 tar xvfz (압축된 파일 이름) 하드링크와 소프트링크 - 하드링크(Hard Link) ..
네트워크 케이블 네트워크를 구성할려면 케이블이 필요하다. WiFi공유기를 이용해 무선으로 이용하지만 이 WiFi공유기에도 케이블이 연결되어서 인터넷을 할 수 있게 해준다. [ 용어 정리 ] - TP 케이블 : 여기서 TP란 Twisted-pair로 꼬인 케이블입니다. 이 TP에서는 UTP와 STP가 있습니다. - UTP 케이블 : 앞에 U는 Unshielded(언쉴드 >> 감싸지 않았다)TP입니다. - STP 케이블 : 앞에 S는 Shielded(쉴드 > 감싸져있다)TP입니다. :: 정리하면 TP 케이블의 일종으로 UTP와 STP가 있는데, STP는 케이블 주위에 어떤 절연체로 감싸서 만든 케이블이고, UTP는 감싸지 않은 케이블 입니다. [ UTP 케이블 ]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케이블이 UTP 케이블 입니다. 이제 ..
Windows god mode 폴더 God mode는 모든 설정을 볼 수 있는 제어판을 만듭니다. [ 만드는 방법 ] 1. 새 폴더를 만듭니다. 2. 새 폴더를 누르고 "F2"를 눌러서 이름을 변경하는 모드로 들어갑니다. 3. 밑에 있는 것을 복사해서 이름에 넣습니다. God Mode.{ED7BA470-8E54-465E-825C-99712043E01C} 4. 그러면 제어판 아이콘의 이름없는 것이 생성됩니다. 5. 이제 들어가게되면 해당 사진처럼 모든 설정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OpenMediaVault(OMV) 비밀번호를 까먹을 경우 ssh에서 재설정 해주는 방법 [04] OMV의 admin비밀번호를 까먹었을 경우 SSH로 접속해서 비밀번호를 재설정해주면 됩니다. 1. SSH 접속 서버에 멀리 떨어져있다면, SSH으로 원격으로 접속하면됩니다. 2. root로 로그인해서 "omv-firstaid" 명령어 치기 명령어를 치면 밑에처럼 사진이 나옵니다. 3. 세번째인 "Change contorl panel..."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면 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