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어 정리 }}
# RFC(Request for Comments) : 문서는 비평을 기다리는 문서라는 의미, 컴퓨터 네트워크 공학 등에서 인터넷
기술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연구, 혁신, 기법 등을 아우르는 메모를 나타낸다.
# 데몬 : 유닉스 등에서 백그라운드에서 프로세스 상태로 있다가, 접근요청이 있을 때 만, 이를 처리해 주는 일종의
서버 프로세스
# MIME : 전자 우편을 위한 인터넷 표준 포맷이다.
# POP3 : 받는 메일서버로 자신에게 온 메일이 POP3 서버에 저장이되며 이것을 메일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의
컴퓨터로 받아와볼 수 있다.
# IMAP : POP3와 마찬가지로 이메일을 수신할 떄 사용하는 또 다른 프로토콜중 한개
{{{ 쉬운 정리 }}}
- SMTP : 메일을 보낼때 쓰는 프로토콜
- POP3 : 메일을 받을때 쓰는 프로토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간이 우편 전송 포르토콜) :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이용되는 프로토콜
[ 특징 ]
- SMTP는 연결지향적이고 텍스트 기반으로 작동하는 프로토콜
- SMTP 클라이언트와 SMTP 서버 사이에 SMTP 세션이 생성되며 명령을 이용해 메일을 송수신 함
(SMTP 교환은 다음 세 명령어를 사용함)
1. MAIL 명령어 : 수신자 지정
2. RCPT 명령어 : 송신자 지정
3. DATA 명령어 : 메시지 내용이 시작되는 부분, 메시지 헤더와 바디로 구성
- TCP 연결에 기초함
- 기본 통신포트는 25
- RFC2821에 따라 규정되어 있음
- 메일서버는 통상 데몬으로 동작하며, 메일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에 항상준비
- 주소표기는 '계정명@호스트주소' 형태를 띔
- 문자 코드를 7비트 ASCCI 코드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이나 음성등의 데이터를 포함한 문서는 전송이안됨,
하지만 MIME 방식을 이용하여 화상이나 음성등의 데이터를 첨부해 전송할 수 있음
[ SMTP 구성요소 ]
- UA(User Agent) : ex) elm, MH, Zmail
- MTA (Message Transfer Agent) : 메일을 중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
ex) sendmail
- MAA (Message Access Agent) : 메일 엑세스용 프로토콜
ex) POP3
[ SMTP 주요 명령들 ]
- HELLO : 클라이언트 자신이 누구인가를 밝힘
- MAIL FROM : 클라이언트 메일 송신자가 누구인지를 알기위해 사용
- RCPT TO : 수신처
- DATA : 전체 메일 메세지 전송을 송신측에서 준비됨
[ SMTP 응답 코드 ]
- 220 : 서비스 준비 완료
- 221 : 서비스 종료에 따라 전송채널을 닫음
- 250 : 요구된 동작을 실행했음을 알림
- 354 : 메일 입력이 시작됨
'Network System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MediaVault(OMV) 비밀번호를 까먹을 경우 ssh에서 재설정 해주는 방법 [04] (0) | 2020.05.09 |
---|---|
Debian Linux MAC 주소에 이름을 변경하자 (0) | 2020.05.08 |
OpenMediaVault(OMV)로 NAS서버 만들기 영상 [02] (0) | 2020.05.04 |
OpenMediaVault(OMV)로 NAS서버 만들기 [01] (0) | 2020.05.02 |
[Debian Linux SSH - 03] SSH 프로토콜의 보안체계를 이해하자 (0) | 2020.05.02 |